목록

보건/의료산업 관련 RFID 특허동향 및 전망

배순구

배순구 파트너 변리사

바로가기
1. 들어가며
RFID 기술은 이미 수년 전부터 응용가능한 분야가 다양하고, 유비 쿼터스 사회를 이끌 수 있는 기술로 기대되어 왔으나, 최근까지 국내 연구 개발자들의 관심은 RFID 태그, 리더, 미들웨어와 같은 기반 시스템 기술에 집중되어 왔다.
그러나, 한국 RFID/USN 협회(http://www.karus.or.kr)가 매년 분석하여 발표하고 있는 RFID/USN 분야의 특허동향을 면밀히 살펴 볼 때, RFID의 몇몇 응용분야에서는 과거와는 다른 특허동향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 발견되고 있다.
특히, 의료/ 보건산업 분야 등에서는 과거의 추상적인 개념보다는 확연히 구체화된 기술들이 특허로서 출원되고 있 고, 기술적 완성도에 있어서도 단기간 내에 상용화가 가능한 특허출원들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만한다.

2. 보건/의료산업과 관련된 국내외 특허동향
먼저 보건의료산업분야의 RFID 출원 동향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약 2004년경을 기점으로 출원이 시작되었으나, 최근 3-4년 동안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 명확하게 드러나고 있으며, 현재까지 보건/의료산업과 관련된 RFID 특허는 국내외(한, 미,일, 유럽)를 합하여 약 1000여건에 이르는 것으로 조사되어 있다. (아래 그림1 참조)


<그림1> 보건/의료산업 분야의 RFID 특허출원 동향

이와 같은 특허분석 데이터는 의료 / 보건산업에 특화
되어 있는 전문적인 조사분석 결과가 아니라 일반적인 RFID/USN 특허분석으로부터 유추된 결과라는 점에서 정확성에는 한계가 있으나, 몇 가지 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.
먼저, 보건/의료산업 관련 RFID 특허 출원 동향을 국가별로 살펴보면, 국내의 관련특허 출원건수는 일본이나 미국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음을 알 수 있고(아래 그림 2 참조), 이는 전체적인 RFID 관련 특허 동향과 비교하여 볼 때에도, 국내의 보건/의료산업 관련 RFID 특허출원이 매우 부진한 상태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.


<그림2> 국가별 보건/의료산업 관련 RFID 특허 동향

또한 관련 특허의 내용을 개별적으로 살펴보더라도, 국내 의 의료/ 보건사업 관련 RFID 특허출원은 원격진료, 진단과 같은 특정분야에만 집중되어 있어 특허의 포트폴리오가 다양하지 못하고, 개별특허의 기술적인 완성도도 많이 부족하여 추상적인 개념만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.
이에 대하여 2009년에 조사된 외국의 RFID 특허를 살펴 보면 다양한 종류의 의료기구, 장비 등에 관련된 RFID 특허 출원들이 이루어지고 있어서 과거에 비해 그 응용분야가 다 변화되고 기술적인 완성도도 급격하게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고, 이는 외국의 기술수준이 다양한 보건/의료산업 분야에서 RFID 기술을 도입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점을 시사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.

<그림3> 보건/의료산업분야 RFID 특허의 주요 출원인(추정)
이미 수년 전부터 의료/ 보건 산업분야는 RFID 기술의 적용가능성이 높고, 수익성도 높을 것으로 평가되어 해외에서는 주목을 받아온 분야였으나, 지금까지의 특허분석 결과 국내는 아직도 연구개발 주제의 다양성이나 그 결과물에 있 어서 부족한 수준이라는 점을 알 수 있고, 이와 같은 상황은 미래의 관련 산업에서이 국내 기업들의 경쟁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그 대응방안 마련 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.

3. 보건/의료산업을 위한 특허전략 및 대응방안
지금 현재 상황에서 보건/의료산업분야에 RFID 기술을 도입하고, 지식재산권을 확보하여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먼저 보건/의료산업과 관련된 RFID 특허를 면밀히 파악하고 분석하는 것이다.
이를 통해 보다 정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국내 연구개발 정책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지고, 개별적인 특허 및 특허권 자 분석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우리 기업이 성공할 수 있 는 전략적 아이템을 도출하며, 나아가 국내 산업에 적합한 특허 포트폴리오를 발굴하는 것이 현재시점에서는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.
또한 보건/의료산업분야에 RFID 기술을 도입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개발과제 및 지원사업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을 이루어진다면 보다 효과적으로 관련산업의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.

이전글
현행 중재법 하에서 판단유탈 또는 이유모순의 점이 중재취소사유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관하여
2014-10-23 20:08:34.0
다음글
대체적 분쟁 해결제도
(Alternative Dis pute Resolution)
2014-10-23 19:12:07.0

상담신청

특허, 지식재산권, 기업법무 및
민사, 형사 등 법률상담 신청하세요.

상담 신청

뉴스레터

판례 및 논문 등의 다양한 정보를
이메일로 발송해 드립니다.

뉴스레터 신청
상담 신청상담 신청

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132(역삼동, 한독빌딩 9F~11F 법무법인(유) | 특허법인(유) 다래)

T 02.3475.7700 (법무) / 7701 (특허) | F 02.3475.7777 / 7788 / 7778